Elasticsearch를 활용한 성능개선을 위해서 진행해 볼 순서를 정리해보았다.
1.
Elasticsearch 설치
2.
도서 데이터를 Elasticsearch에 넣고 JMeter로 테스트해보기
3.
MySQL과 Elasticsearch의 성능 차이점 비교하기
4.
Beats 를 추가해보고 JMeter로 테스트해보기
5.
이전과 차이점 비교하기
6.
Logstash 추가해보고 JMeter로 테스트해보기
7.
이전과 차이점 비교하기
8.
Kibana 추가해보기
9.
JMeter 결과와 Kibana 대쉬보드의 차이점, Kibana가 제공해주는 것들 정리해보기
10.
위 ELKB 스택을 로컬이 아닌 Docker에 구현해보기
11.
환경 구성 방법의 차이를 확인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