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와 관련된 알고리즘 문제들이 자주 등장한다.
특히 반복문으로 처리할 때가 많아서 그 길이를 알아야 할 때가 많다.
어느때는 something.length
어느때는 something.length()
로 나타내긴한다. 자칫 착각할 때가 있어서 기록해두었다.
length()는 문자열의 길이, 쉽게 말해서 문자가 몇글자인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때 쓰인다. 예로 text = “java”; 인 경우 text.length()를 통해 text[]가 = [’j’,’a’,’v’,’a’] 문자(char)들의 배열로 보고 그 길이 정보가 필요 할 때 사용된다.
이렇게 추출해서 substring 등으로 자르거나 버블정렬을 하거나 시도 할 수 있다.
length는 문자열로 이루어진 배열 strArr[] = {’hi’, ‘hello’, ‘bye’} 에 몇개의 문자열이 있는지 정보가 필요 할 때 사용된다. 참고로 strArr[0]이 “hi”인지 확인하려면 ==연산자가 아니라, equals와 같이 접근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ArrayList의 경우size()를 통해서 배열의 길이를 알 수 있다.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종류 | 메소드 |
배열 | .length |
문자열 | .length() |
ArrayList | .siz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