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AWS]00 AWS Elastic Beanstalk 00 웹 서비스 배포 간단 개념과 AWS 가입, 그룹 및 사용자(IAM) 추가 과정

Author
Summary
배포란? AWS EB 첫 사용
Category
Study
Tags
AWS
Favorite
Memory Date
2023/07/14
Progress Status
Done
Cross Reference Study
Related Media
Related Thought
Related Lessons
tag
날짜
작성자
진행상황
진행 전
태그구분
5 more properties

배포? Publishing?

웹 서비스를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게 내놓은 것을 배포라고 함
웹을 개발한 환경에서 계속 웹 서비스를 실행시켜두려면 내 컴퓨터를 켜둬야 함
내 컴퓨터를 언제까지고 켜 둘수 없으니, 컴퓨터를 하나 빌려서 계속 켜두자! → 우리가 알고 있는 서버
(추후 소장하고있는 Synology NAS를 활용하여 배포, 웹호스팅 테스트를 진행해봐야 겠다.)

AWS Elastic Beanstalk

우선 Amazon 클라우드 서비스 중 웹 어플리케이션을 배포 할 수 있는 AWS Elastic Beanstalk를 사용해보자.
Amazon은 웹을 동작할 수 있도록 컴퓨터를 빌려주는 클라우드 서비스 AWS(Amazon Web Service)를 제공함
그 중에서도 빠르게 내 컴퓨터에서 바로 웹 서버를 빌려 배포할 수 있게 하는 AWS Elastic Beanstalk 서비스를 제공 중
AWS EB를 사용하여 빠르게 웹을 배포해보는 것이 목표
아래 AWS Elastic Beanstalk의 공식 인포그래픽을 통해서 과정을 보면
AWS 계정을 만들고 Elastic Beanstalk 콘솔을 이용 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웹작업한것) 코드를 가지고 Elastic Beanstalk을 세팅하여 보내면
AWS CloudFormation, Amazon EC2 instance, S3 buckets, Amazon CloudWatch 같은 아직 뭔지 알수없는 서비스들을 통해서 배포 환경이 세팅되고
서비스가 웹에 작동된다는 방식이다. 실제로 배포 과정을 진행해보면서 하나씩 모르는것들을 해결해 나가야 한다.

1. AWS 회원 가입

우선 가장 첫 단계인 AWS 가입이 진행되야 한다.
아래 링크를 통해 해외 결제가 가능한 카드를 입력하고 계정을 생성 할 수 있다.

2. AWS 보안자격증명(IAM) 설정

IAM은 AWS 계정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AWS 내부 관리 시스템이다.
루트계정(가입자본인)은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는데 외부 이유로라도 계정 해킹등 문제가 생기면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어서 위험하다.
IAM을 통해 내부적으로 사용자그룹생성하고 해당 그룹 내 사용자를 생성하여 부분적으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서비스
콘솔 홈>계정>보안 자격 증명(IAM) 관리탭 이동

2.1 사용자 그룹 생성

IAM 관리화면>사용자 그룹>그룹 생성
사용자 그룹 생성>그룹 이름 지정, 권한 정책 연결(AdministratorAccess)

2.2 사용자 생성

IAM 관리화면>사용자>사용자 추가

2.2.1 사용자 세부 정보 지정>사용자 이름, AWS Management Console에 대한 사용자 액세스 권한 제공(IAM 사용자로 생성+콘솔 접근 암호 지정+다음 로그인시 새암호 생성X)

2.2.2 권한 설정>(2.1)그룹에 사용자 추가

2.2.3 사용자 설정 검토

3. 그룹, 사용자 생성 후 IAM 계정으로 로그인

IAM 사용자가 생성되면 콘솔 홈에 로그인 할 수 있는 계정이 12자리 숫자 계정을 부여받는다, 사용자명과 암호는 2.2.1에서 생성한 암호이다.
root 계정(마스터 계정)으로 접속 하는 것 보다 IAM 계정에 권한(거의 모든 권한)을 부여하고 작업시엔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해킹 등 보안상 문제를 해결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