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Framer] 2. Framer를 활용 웹사이트 디자인과 배포해보기

Category
Author
Tags
PinOnMain
1 more property
이번 실습을 통해 원하는 홈페이지를 만들어보고 웹으로 배포 할 수 있다.
Table of Content

1. Framer 회원가입

회원가입하기
구글로 간편 회원가입 하기
구글 회원 가입 진행, 알맞는 정보 입력하여 회원 가입 완료하기
회원가입 후 나타나는 메인 에디터 페이지

2. 테마 찾기

에디터에서 직접 템플릿을 디자인하고 레이아웃을 구성하거나 Figma 등의 웹디자인 툴을 통해 디자인한 것을 삽입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웹 디자인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해서는 전문가들이 틀을 잡아둔 유용한 템플릿을 활용하는 것으로 시간을 절약 할 수 있다.
에디터 창에서 브라우저에서 아래 링크로 접속
템플릿들을 살펴보기 위해서 전체 목록을 살펴보기
“무료” 템플릿 모아서 살펴보기 및 고르기
원하는 템플릿 선택과 미리보기를 통해서 홈페이지가 완성된 모습을 미리 체험 할 수 있다.
해당 템플릿 사용을 원한다면, Use For Free 선택
이후 Copy 선택
다음 처럼 에디터에 해당 홈페이지의 구성이 복사되었다.
전체적인 홈페이지 동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레이아웃을 바꾸지 말고 이미지나 텍스트만 수정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렇지 않으면 동작 등 템플릿 미리보기에서 보았던 동작들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

3. 불러온 테마를 수정해보기

앞서 우리는 다음처럼 원하는 테마를 에디터로 불러 올 수 있었다.
하지만 해당 테마의 내용들은 디자인 개발자의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우리의 콘텐츠로 채워 나가야 한다.

3-1. 문자 바꿔보기

2ZUP이라는 문구를 나의 포트폴리오로 문구를 바꿔보고 싶다.
텍스트가 있는곳 더블클릭해서 들어가 보면, 텍스트 입력창까지 들어 갈 수 있다.
내가 원하는 문구로 교체해본다. 팀명이나 프로젝트 이름을 메인에 소개하면 좋을것 같다.
원하는 문구로 교체된 모습

3-2. 그림도 바꿔보기

사용되고 있는 그림도 우리의 프로젝트 사진이 있다면 교체해보자.
핵심은 홈페이지 디자이너의 동작이나 페이지 구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원하는 이미지만 교체해도 우리의 홈페이지로 재구성 할 수 있는 방법이다.
우선 홈페이지의 이미지들이 좌우로 슬라이드되는 부분에 나의 프로젝트 모습을 담고싶다.
해당 부분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더블클릭하여 들어간다.
이 템플릿 개발자는 이렇게 5개 이미지가 슬라이드되도록 구성했다.
하지만 우리는 움직임은 그대로, 우리의 작품 이미지로만 교체하고 싶다.
왼쪽 이미지들을 눌러보니 image … 와 같은 파일을 첨부하는 곳이 보인다.
해당 이미지를 내가 준비한 내프로젝트 이미지로 바꿔본다.
실제 나의 이미지가 적용된걸 볼 수 있다.
하나씩 왼쪽 카드의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미지 부분을 내 파일을 넣어본다.
하나씩 왼쪽 카드부분에 나의 이미지를 넣어보니 오른쪽 슬라이드 부분이 자동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했다.
다시 홈화면으로 이동해보니, 내 이미지들이 레이아웃에 보인다.
실제로 변경된게 맞는지 실행해보자.
이제 자유롭게 원하는 부분을 수정하면서 원하는 작품을 홍보하거나 상품을 홍보하는 페이지를 빠르게 구성 할 수 있게 되었다.
필요한 자료를 넣고, 원본 테마에서 불필요한 부분은 제거해나가면 홈페이지가 제작된다.

3-3 영상도 넣어보기

영상도 업로드 할 수 있다. 이미지처럼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넣으면 된다.
하지만 Framer 무료플랜에서는 업로드 최대 용량이 50mb 이기 때문에 높은 용량이면 압축하거나 각 부분별로 분할하는 것을 추천한다.

4. 홈페이지를 배포하기

간단한 방식으로 템플릿을 활용해서 홈페이지를 만들었지만, 미리보기만으로 우리만 보면 의미가 없다.
www 웹 세상으로 배포하여 모든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배포(Deployment)를 해야 한다.
실제 웹서비스를 개발하고 배포하는 것은 인터넷, 네트워크 등 지식들이 필요하여 초심자에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Framer에서는 복잡한 설정을 모두 제외하고 간단하게 우리 홈페이지를 세상에 공개 할 수 있다.

4-1. Publish

본인의 팀 프로젝트 홍보페이지를 잘 구성했으면, 오른쪽 위 Publish 버튼을 눌러본다.
그럼 다음과 같은 화면이 즉시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저 지구본모양의 주소를 클릭하면,
브라우저(크롬 등등)에서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또는 브라우저에 입력하여 접속해본다.
간단하게 우리가 만든 홈페이지가 이미 인터넷에서 접속할 수 있는 상태로 배포 되고 있다는 것.
복잡한 설정등은 Framer가 대신해주고 있어서 쉽게 배포되고 있는 것이다.

4-2. 도메인 바꿔보기

하지만 해당 홈페이지의 URL 주소는 생각보다 복잡하다.
보통 우리는 www.tooning.io , www.naver.com 처럼 홈페이지의 주소는 간판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원하는 도메인으로 어느정도 바꿔줄 필요가 있다.
“Add Domain”을 눌러서 도메인 설정 페이지로 접근한다.
Custom Domain 부분에 우선 무료로 활용할 수 있는 도메인 수정을 해본다. 팀명이나 프로젝트명을 입력하면 www.teamname.framer.website 와 같은 도메인을 무료로 제공해준다.
이후 본인이 설정한 URL 주소로 브라우저에서 들어가본다!
모바일에서도 똑같이 접속 할 수 있다.
이처럼 최소한으로 우리가 원하는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었다.
완벽히 framer처럼 뒷부분까지 모두 수정하기 위해서는 유료 플랜으로 진행해야하고, 도메인 구매 등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선 여기까지 진행하도록 한다.
| citeFred’s Blog | Category |  Tags | About Me | Contact